728x90
반응형
1. 라이브러리
- 미리 정의되어 내가 만든 클래스에서 호출해서 사용하는 방식
- 사람이 주도권을 가지고 코드에서 해당 라이브러리를 호출해서 사용
2. 프레임워크
- 프레임워크가 우리의 코드를 호출해서 원하는 목적에 달성하도록 도와줌
3. Spring Framework
-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경량 프레임워크
- Java를 이용해 Web을 개발하기 위한 도구
4. Spring Boot
- Spring Framework가 기능이 많은만큼 복잡한 환경설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설정부분을 자동화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Spring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
5. STS(Spring Tool Suite)
- 스프링 개발에 최적화된 이클립스에 가깝다.
- 이클립스 베이스에 Spring Framwork plugin이 자동으로 추가된 버전
- Maven과 이클립스의 Maven 플러그인인 m2Eclipse가 포함된 통함 개발환경
728x90
반응형
'📌 Back End > └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소프트웨어 배포 생명 주기 (software release life cycle) (0) | 2023.07.19 |
---|---|
[Spring] Thymeleaf(타임리프)란? (+기본적인 사용법) (1) | 2023.03.16 |
[Spring] 스프링 프로젝트 폴더 빨간색 느낌표(pom.xml) (0) | 2023.03.16 |
[Spring] Spring Framework 구동원리 기본동작 순서 및 구조 (0) | 2023.03.13 |
[Spring] MyBatis에서 CDATA사용법 (0) | 2023.03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