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📌 localhost 로컬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도메인 이름
📌127.0.0.1 현재 기기의 로컬 IP 주소를 의미
거의 모든 컴퓨터 환경에서 자기 자신을 접근하는(loopback) 경우가 잦다.
그리하여 OS 자체적으로 제공하고,
항상 고정되어 있는 IP(127.0.0.1) 과 호스트네임(localhost)을 갖는다.
127.0.0.1은 예약된 IP 주소로 인터넷상에 일반 IP로는 쓰일 수 없는 주소이다.
OS에서 가상으로 지원하며, 랜카드 등 디바이스 자체를 통과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된다.
반면에 자신이 인터넷 상에 할당된 IP가 111.111.111.115인 경우
자신의 IP로 직접 접근할 때는 랜카드 드라이버 등 디바이스 영역을 통과하여 처리되기 때문에
localhost로 접근하는게 더 빠르고 시스템자원을 덜 쓰게된다.
📌 localhost 8080에서 8080은 무엇을 의미하나요?
컴퓨터 역시 어떠한 서비스를 주거나/받게 되는데
이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포트라는 개념을 사용한다.
일반적으로 웹 서버의 포트 번호는 80번이고,
실험적으로 하는 서비스는 대개 8080번 포트에서 사용을 한다.
http://localhost:8080
번호 | 프로토콜 | 통신 프로토콜 | 설명 |
80 | HTTP | TCP | 웹 서버 접속 |
443 | HTTPS | TCP | 웹 서버 접속(SSL) |
110 | POP3 | TCP | 메일 읽기 |
25 | SMTP | TCP | 메일 서버간 메일 전송 |
22 | SSH | TCP | 컴퓨터 원격 로그인 |
53 | DNS | UDP | DNS 질의 |
123 | NTP | TCP | 시간 동기화 |
20 | FTP | TCP | 데이터 전송 |
21 | FTP | TCP | FTP 제어 |
728x90
반응형
'📌 Computer Science > └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SIP 프로토콜 이란? (시그널링 프로토콜) (0) | 2023.03.10 |
---|---|
[Web] HTTP Referer 헤더 정보 (Request Headers Referer(리퍼러)) 이해하기 (0) | 2023.03.10 |
[WebRTC] WebRTC 란? (STUN, NAT, TURN, SDP, ICE, RTMP) (0) | 2023.03.10 |